본문 바로가기
부산아재 조경이야기

[부산조경시공팀 ' 더푸르게'] 나무와 정원수의 기초지식 "가이즈카 향나무" 알아보기

by 부산아재84 2023. 10. 18.
728x90
반응형

[부산조경시공] -  나무와 정원수의 

기초지식 "가이즈카 향나무"

 

1. 나무의 특징과 성질

 

일본에서 개발된 향나무의 원예품종

 

날카로운 바늘잎과  비늘모양의 비늘잎이 공존하는

향나무를 비늘잎만 가진 것을 골라 품종을

고정한 것이 가이즈카 향나무이며 '가이즈카'는

일본 오사카 부근의 지역 이름입니다.

 

 

굽은 지엽이 불꽃을 연상시킨다

 

옆가지가 불꽃모양의 나선형으로 굽어나기 때문에

'나사백'이라고도 한다.

나무의 키는 8m 정도까지 자라며 수간은 위를 향해

수직으로 뻗고 수피는 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

줄이 보입니다. 재배가 용이하기 때문에

산울타리, 정원수, 가로수 등의 녹화목으로

광범위하게 식재되고 있습니다.

 

배나무, 모과나무, 꽃사과 등의 장미과 나무 곁에는

심지 않는다.

녹병균은 가이즈카 향나무 잎에 붙어서 겨울을 지내고

봄이 되면 배나무, 모과나무, 꽃사과 등의 장미과

식물에 큰 피해를 줍니다.

 

특히 배나무 붉은 별무늬병의 기주가 되므로 

배나무 과수원 근처에는 심지 않습니다.

 

대기오염에 강한 나무

 

햇빛이 많이 비치는 곳을 좋아합니다.

토양은 가리지 않으며, 건조에 강하고 습기가 있는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튼튼한 나무입니다.

또 대기오염과 공해에도 강하여

도심지나 공장지대 해안가 등에 심어도 잘~ 자랍니다.

 

2. 관리작업

 

식재와 이식

 

묘목을 심기에는 3~5월이 적기이며

햇빛이 잘 비치는 곳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이식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거목이나 노목은

다소 까다롭습니다.

특히 여름~가을에는 이식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비료

 

2~3월엘 밑거름으로 완효성 화학비료를 줍니다

6월에 소량의 덧거름을 뿌려줍니다.

 

병충해

 

녹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녹병의 병원균은 모과나무

꽃사과, 배나무 등과 같은 장미과 식물이 없는 곳에서는

생활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나무 근처에는

식재하지 않습니다.

 

특히 배나무 붉은 별무늬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 5~10월에 향나무 뿔나방에 주의합니다.

 

 

부가설명) 배나무 붉은 별무늬병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발병하며 중간숙주식물인 향나무가 주위에 있고

비가 자주 오면 특히 발병이 많다.

 

잎·새 가지·열매에 발병한다.

 

잎에는 처음 등황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차차 커져서 지름 5mm 정도가 되며,

표면에 작은 과립체()를 형성하고

병반 뒷면에는 담회색의 수염(수자강) 모양의 돌기물이 생기며,

새 가지는 표면에 등황색 병반이 형성된다.

 

열매는 등황색 반점이 생겨 점차

병든 부위가 움푹 들어가고 기형이 된다.

 

병원균(Gymnosporangium haraeanum)은 

담자균류이며, 배나무에 정자()와

수포자()를 형성하고

향나무에 동포자()를 형성한다.

 

동포자형으로 월동한 병원균은 봄에 발아하여

배나무로 옮겨 발병하는데 배나무에서

배나무로 전염은 하지 않는다.

배나무 주위의 향나무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제법이다.

4월 중순경부터 3~4차례 살균제를 살포해 준다.

 

4~5월에 트리아디메폰 수화제 800배액

또는 페나리몰 수화제 3,3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3~4회 살포한다.

또한, 주변의 향나무에도 동일 약제를

4월 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전정

 

강전정에 잘 견디며 맹아력도 강하기 때문에

적기가 아니어도 언제나 전정이 가능합니다.

산울타리나 토피어리등의 수형을 만들기 위해

너무 강하게 전정하면 바늘잎이 생기는 수가

있는데 이때에는 빨리 제거해 줍니다.

 

 

작업포인트

 

그늘에서 자라면 지엽의 밀도가 성기게 됩니다.

따라서 주위 수목을 잘 정리하여 항상 해가 들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늘진 쪽에 있는 나무의 아랫가지는

고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