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부동산정책

2021 부산북항 통합개발 도심재창조 마스터플랜 2장 현황및 여건분석 중 2.10 지역진단분석

by 부산아재84 2022. 5. 31.
728x90
반응형

 

2.10
지역 진단 분석


1. 쇠퇴현황


1.1 부문별 동(洞)단위 도시쇠퇴 현황
인구사회



Ÿ 대상지가 포함된46개 동 중에 최근 30년간 
인구가가장많았던 시기와비교하여20%이상 
인구가감소한지역에해당하는동은33개동이며,
최근5년간3년이상연속으로인구가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40개 동으로 나타남

Ÿ 종합하여 볼 때, 46개 동 중 42개 동이 
인구사회부문에서 도시쇠퇴기준에 충족함

산업경제


Ÿ 대상지가 포함된 46개 동 중에 최근
30년간 총사업체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와
 비교하여 5% 이상 총사업체수가 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25개 동이며,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총 사업체수가 감소한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22개 동으로 나타남

Ÿ 종합하여 볼 때, 46개 동 중 27개 동이 
산업경제부문에서 도시쇠퇴기준에 충족함


물리환경


Ÿ 대상지가 포함된 46개 동 중에 전체 
건축물 중 준공된 후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이 차지하는비율이 50% 이상인 
지역에 해당하는 동은 46개 동으로 나타남

Ÿ 종합하여 볼 때, 46개 동 전체가 
물리환경부문에서 도시쇠퇴기준에 충족함


1.2 종합


Ÿ 도시쇠퇴도 평가를 인구사회/산업경제/

물리환경 3가지 항목으로 시행한 결과, 

3가지 항목에 모두
충족하는 동은 전체 46개 동 중 24개로

 나타나며 동구가 전반적인

 부분의 쇠퇴도가 높음

Ÿ 대부분의 동에서 인구사회와 

물리·환경적인 쇠퇴가 진행되었으며,

 중구와 영도구 일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산업경제적인 

쇠퇴가 발생하였음

Ÿ 향후 물리·환경적개선과 

더불어산업경제적측면의

 신산업창출및기존산업 특화

 전략이필요함


2. 생활 SOC현황
2.1 개요

Ÿ 생활 SOC란, 거주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생활편의와 

복지를 제공하는 기초생활인프라
시설로 국민들에게 보편적 생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8년 국가 정책목표의

 하나로 생활SOC의 전국적

 공급을 확대 추진함

Ÿ 2018년 건축도시공간연구소의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적 최저기준 재정비(안)은

 ‘기초생활인프라 시설의 위계와 규모를 

고려하여 공간적 집적을 

통해 규모화가 필요한 

시설’과 ‘접근성 제고를 위해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해야 할 시설’을

 구분하기 위해 마을단위 11개

 시설과 지역거점 7개 시설로
구분함

Ÿ 지역거점시설(대규모 복합시설) -

 지역중심지에 설치되는 대규모, 고차 서비스 시설

, 국공립도서관, 공공문화시설, 공공체육시설, 노인
복지시설, 보건소, 종합병원, 지역거점공원 포함

Ÿ 마을단위시설(소규모 다기능시설) -

 도보권에서 이용가능한 주민 

생활필수시설로 마을주차장, 

마을도서관,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
교, 마을 노인복지시설, 생활체육시설, 

근린공원, 의원, 약국, 소매점,

 기타 생활편의시설 포함

Ÿ 전국을 지역거점과 마을단위로

 구분하여 각각 500m×500m, 200m×200m의 

셀로 격자화하여
각 개인의 거주기 근린에서 최단거리 

시설까지 접근거리를 분석하여 

각 시설로의 1인당 접근거리를산출하고, 

이를 전국 10등급으로 구분하여 

구간별 한계거리 및 해당인구를 산출함

Ÿ 마을단위 기초생활인프라의

 구체적 최저기준 거리는

 시설 종류에 따라 250m에서 1,250m까지로
보행속도 시속 3km로 재환산한 거리임

 

생활SOC 최저기준


Ÿ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지역의 기초생활인프라 공급 현황 자료 및 분석 안내서」

에 기재된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적 최저기준 거리 

환산값을 기준으로 대상지 내 분포하고 있는

 마을단위시설의 최저기준 충족 및 미달 여부를 검토함

Ÿ 지역거점시설은 차량, 

마을단위시설은 도보를 기준으로 

국가적 최저기준 

 


생활SOC 분석범위

Ÿ 읍면동별 평균 접근성, 관련 시설물 개수, 

생활권(200m×200m) 개수, 

최저기준 충족, 미달 및
이용연령층이 없는 생활권 및 

인구수를 조사함


- 읍면동별 평균 접근성 : 

각 동에 포함되어 있는 생활권의

 시설별 거리 평균값


- 최저기준 충족 생활권/인구 수 : 

이용연령층이 없는 생활권을 제외한 나머지 

생활권 중 국가적 최저기준 

거리를 만족하는 생활권의 

개수 및 생활권에 포함된 인구 수


- 최저기준 미달 생활권/인구 수 : 

이용연령층이 없는 생활권을 제외한 

나머지 생활권 중 국가적 최저기준

 거리를 만족하지 않는

 생활권의 개수 및 생활권에 포함된 인구 수


- 이용연령층이 없는(해당없음) 

생활권/인구인구 수 : 

특정 연령층에 국한된

 생활SOC시설에 대해 해당
연령층이 없는 생활권의 개수 및

 생활권에 포함된 인구 수

 

 


2.2 접근성 분석
서구

Ÿ 서구에서는 남부민동, 동대신동, 

부민동, 서대신동(서대신1동, 서대신3동), 

아미동, 암남동, 초장동, 

충무동이 대상지를 포함하는 동임

Ÿ 8개 동 중 남부민동, 동대신동, 

부민동은 모든 시설에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나머지동에서도 일부 시설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Ÿ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시설이 

있는 동은 서대신동(노인교실), 

아미동·암남동(어린이집, 노인교실), 

초장동·충무동(노인교실, 도시공원)으로 나타남


중구

Ÿ 중구에서는 광복동, 남포동, 대청동, 

동광동, 보수동, 부평동, 

영주동(영주1동, 영주2동), 

중앙동이 대상지를 포함하는 동임

Ÿ 8개 동 중 보수동은 모든 

시설에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노인교실에서 대부분의 동이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Ÿ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시설이 있는 동은 광복동·

동광동(유치원, 어린이집, 

경로당, 노인교실),
남포동(경로당, 노인교실), 

대청동·부평동·영주동(노인교실), 

중앙동(어린이집, 경로당, 노인교실)

으로 나타남

Ÿ 남포동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어린이집에 대하여 특정 

이용연령층이 없어 

평균 접근성 값이 없음


동구

Ÿ 동구에서는 범일동(범일1동, 범일5동), 

수정동(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좌천동, 초량동(초량1동, 초량2동, 초량5동, 

초량6동)이 대상지를 포함하는 동임

Ÿ 4개 동 중 범일동은 모든 시설에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나머지 동에서도

 대체적으로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Ÿ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시설이 있는 동은 수정동(초등학교, 노인교실), 

좌천동(노인교실), 

초량동(유치원, 초등학교, 

노인교실)으로 나타남


남구

Ÿ 남구에서는 감만동(감만1동, 감만2동),

 대연동(대연1동, 대연4동, 대연6동),

 문현동(문현3동, 문현4
동), 용당동, 우암동이 대상지를 

포함하는 동임

Ÿ 5개 동에서 대체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나, 

공영주차장에서는 모두 기준에 미달로
열악한 접근성을 나타내고 있음

Ÿ 공영주차장 외에도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시설이 있는

 동은 용당동(유치원, 노인교실, 도시공원),
대연동(노인교실), 우암동(어린이집)으로 나타남

 

 


영도구

Ÿ 영도구에서는 남항동, 동삼동

(동삼1동, 동삼3동), 봉래동

(봉래1동, 봉래2동), 

신선동, 영선동(영선1동, 영선2동), 

청학동(청학1동, 청학2동)이

 대상지를 포함하는 동임

Ÿ 6개 동 중 남항동, 동삼동, 신선동은 모든

 시설에서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며, 

나머지 동에서도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접근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남

Ÿ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시설이 

있는 동은 동삼동(생활체육시설), 

영선동(어린이집), 봉래동· 

청학동(어린이집, 생활체육시설)으로 나타남

 


종합

Ÿ 각 구별 생활SOC시설 평균접근성을 종합하면, 

영도구를 제외한 모든 구에서 

노인교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짐

Ÿ 이외에, 중구에서는 어린이집과 

경로당, 서구에서는 도시공원, 

동구에서는 초등학교, 영도구에서는
어린이집과 생활체육시설, 

남구에서는 공영주차장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Ÿ 어린이집, 초등학교와 같이 

어린 연령층의 이용에 해당되는 시설의 

경우 지역 내10대 및 10대 이하의 연령층에

 대한 비중이 작아 필요성이 적을 수 있으나,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젊은

 연령층(20-40대)의 유입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함

Ÿ 반면, 경로당, 생활체육시설, 공영주차장, 

도시공원과 같은 전 연령층에 해당하는

 시설의 경우 지속적인 수요 요구가

 발생하며, 노인 연령대의 

비중이 증가하는 상황에 맞춰 

공공에서의 공급이 필요함

Ÿ 따라서, 지역 내에 다수의 

시설이 부족한 경우 수요에 

대한 요구를 적절히 수용할 수 있도록 시설
확충 도입 시설간의 복합적인 연계 

및 설계가 필요하며 기존에 이용되는

 시설과의 결합을 통해 

효율적인 생활서비스 

시설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음

 

 


2.3 시설별 충촉 및 미달



Ÿ 현재 자료에는 생활권별 특정 

이용연령층 수가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을 

도출하는 것이 최선으로, 추후 미달에 해당하는

 동 단위로 특정 이용연령층의 

인구수를 파악하여 시설의 

공급이 시급한 지역 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됨

Ÿ 또한, 특정 이용연령층이 이용하는

 시설은 다수의 통행이 걷기를 

통해 발생하는 시설로 접근성이
매우 중요함으로 시설 공급에

 있어 더욱 적절한 계획이 필요함

Ÿ 대상지가 포함된 지역 중 생활체육시설이

 유일하게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이 나타난 영도구는 생활권수의

 약 64.5%, 인구수의 약 63.7%로

 수치상으로도 매우 접근성이

 열악한 것을 보여줌

Ÿ 공영주차장의 경우 남구에서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이 가장 많이 나타나며 생활권수의
약 96.7%, 인구수의 약 94.6%로 매우 열악함

도시공원 공급계획 마련

Ÿ 대상지가 포함된 지역(구 단위) 

모두에서 도시공원에 대하여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성이 열악한 지역이

 골고루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음

Ÿ 특히, 서구, 영도구, 동구에서

 도시공원 수요 인구수가

 각각 25,419명, 17,244명,

 11,435명으로나타나고 있어 공원에 

대한 공급계획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생활체육시설

Ÿ 영도구에서 생활체육시설에 대하여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수가 약 64.5%, 인구수가 약
63.7%로 나타나 시설의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Ÿ 대상지가 포함된 지역을동

 단위로 파악한 결과,영도구 

동삼동과 청학동이 생활체육시설의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공영주차장

Ÿ 남구, 영도구 순으로 공영주차장에

 대하여 국가적 최저기준에 미달인 

생활권수 및 인구수가 많이
나타나므로 이에 따라 

시설의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Ÿ 대상지가 포함된 지역을 동

 단위로 파악한 결과, 남구 감만동, 대연동,

 우암동, 문현동, 영도구 동삼동이

 공영주차장의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오늘은 여기까지 포스팅 하고

2.11관련계획및 법규 검토,

2.12 사례조사 부분은 다음포스팅에

올려보겠습니다.

 

내용이 방대해서 하나하나 꼼꼼하게읽어보진

못하시겠지만 결국 부산북항을기준으로

주변이 좋아지고 발전한다고 보심

될꺼같네요 부산 동구 주민으로 

정말 기대가 됩니다. 

반응형